[개별주식] 계절성과 관련된 투자 > 주식
주식

[개별주식] 계절성과 관련된 투자

조회 1,159회 댓글 0건

개별주식에서 퀀트투자에 대한 것입니다.

ETF같은 펀드 상품과 다르게 개별주식은 변동성이 상당합니다.

그리고 ETF보다는 신경을 더 많이 써야하고 손해보는것에 대해 견디지 못할것 같은 경우는 하긴 해야 겠는데 신경이 쓰인다면 ETF 하시면 되며 좀 떨어졌다고 판단 될때만 하면 됩니다. 이 부분만 잘 조절하면 개인도 주식으로 손해를 보지 않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다보면 급한 마음이 생기는데 이것도 경험이기 때문에 반드시 최소 10년의 기간을 두고 사이클을 보면서 코스피 그래프를 보고 떨어졌다고 판단이 될 때문 하고 버티면 큰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이것 못합니다. 쉬운것이라고 모두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년에서 1월이 제일 중요하다

- 1월에 오르면 보통 2월에는 내려가드라

- 3월, 4월은 오르는 계절에 들어간다. - 원인은 배당과 관련이 있을 거라 추측 한다.

671a3b184d8191ab847893019840df74_1677678979_8726.png 


주식투자에서 계절성이 좀 우스운 면이 전혀 없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된 이유는 모두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볼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이분 다른것도 다 잘하시는 분입니다.

예를 들면 피가소가 그린 그림을 보면 이상하지요. 피가소는 우리가 잘 그린다고 생각하는 그런 그림도 상당히 잘 그립니다.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18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악재 재료에 의해서 어는정도 까지 주가가 빠지는지 기록 하기 위해서 적는 게시물이다.각각 다른 이슈기 때문에 참고 정도만 하면 될것으로 보이며 중요한것은 수급주의 경우 기관에서 좋지 않게 보고 매도를 바로 진행 한다. 통상 기사 나오고 다음날 진행 되는것이 많아 보인다 호재든 악재든 상관 없이 말이다 예를 들면 호재의 HJ중공업의 경우도 그렇다.개인은 판단하고 바로 대응을 하면 되지만 기관은 움직임이 여러 단계를 거치고 결정을 해야 되서 어쩔 …
  • profile_image 루닛에 대한 것으로 현재 빠지고 있는 원인은 임원들이 주식을 팔때 1달전에 공시해야 되는 기준을 충족시키기 싫어서 1주 빠진 가격으로 팔아서 생긴 문제 입니다.이게 회사의 근본에 문제가 없으면 큰 문제가 될까 싶기도 한데 전문 투자자는 그렇게 보지 않는것 같습니다.올린 주체가 팔고 있기 때문에 무척 좋지 않아 보입니다. 엄청나게 팔고 있고 앞으로 팔게 더 남아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매입한것은 11월 15일 부터로 보이는데요 이때 부터 추정 평균…
  • profile_image 본능적으로 잘 하시는 분은 아 당연히 그정도 올랐으면 이정도에서 매수하면 되지라고 동물적인 감감을 가진 분들이 있는데 부럽죠~우린 그런 능력이 없으면 도구를 사용하면 됩니다.피보나치 조정대는 아무종목에서나 사용하면 되는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매수세가 몰려서 발생하는 급등주쪽에서 더 잘맞습니다.0.236에서 1차매수 하고 2차 0.382에서 매수하고 매도 했으면 괜찮았겠네요.눌림의 단점은 손절인데 한번 해보시면 알게 됩니다. 예를 들면 …
  • profile_image 보통 피보나치는 눌림용으로 맣이 사용하는데요 역발상?으로 거꾸로 그려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눌림이 두번 발생한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물론 더 올라갈지 거기서 내려갈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런 추정을 재료를 보는것이 더 맞겠지요.기법중에는 15% 이상 오른 경우 아 이게 오늘 주도주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20% 이상 갈거를 예상하고 매수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아래 차트 이미지는 저점이 나오고 위쪽에서 2회 눌리이 있을때 첫번…
  • profile_image 전에 엑셀에 넣고 일일이 숫자 넣어서 확인해 봤는데 그럴 필요가 없었네요.키움증권에서 추정평균단가를 제공하는 창이 있었습니다. 0258 종목별 기관매매추이날짜 범위를 지정하면 매입한 추정 평균단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당연히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에 "추정" 이란 단어가 들어가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기관도 여러곳이 있는데 은행만생각해도 국민은행 신한은행 ... 그냥 생각나는것도 많잖아요.연기금도 공무원연금 국민연금 군인연금 …
  • profile_image 결론부터 말하면 외국인의 경우 개인도 있지만 수급주의 경우 외국인 기관으로 보는게 맞습니다.그리고 국내 기관은 한곳이 아니라 여러곳이며 투신도 회사가 한곳이 아니죠.아래는 오늘 급락이 나온것이 있어 봤는데 투신, 사모펀드에서 수익실현을 하는지 우리는 모르는 다른 악재가 있는지 알 수 없으나 파는 물량이 많아서 생긴 현상 입니다.이런 부분이 조금씩 팔면 모두 알게 되어 너도나도 팔게 되어 자신들이 못 팔 수 있어 생긴 문제 일까?가지고 있는 경우…
  • profile_image 제글은 아니고 상당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는 내용이 있어 소개 합니다.작년 홍콩H의 ELS건이 있었는데 이게 어떻게 지나 갔는지 모르겠네요▷ 주가 하락 핵심 포인트외국인은 한 단체나 하나의 기관인 아니고 다양한 나라의 기관자금을 국내에 상주해 있는 다양한 증권사에서 하는데~서로들 잘 아는 사이이기 때문에 잘 통하나?- 골드만 삭스의 대규모 매도- 세계적 금융 거물이 삼성전자 주식을 대규모로 팔기 시작▷ ELS 상품의 음모ETF, ETN 이외에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