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코스닥150, KODEX 200 상품을 통해 고점을 확인해 보자 > 펀드
펀드

KODEX 코스닥150, KODEX 200 상품을 통해 고점을 확인해 보자

조회 126회 댓글 0건

우리나라 코스피, 코스닥이 2021년 고점에 많이 도달하지 못했다고 하는데요.

종목수는 많아 졌는데 돈의 양이 크게 늘어나지 않으면 이상한 결과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아래를 보세요. 상위 기업을 몰아서 만든 ETF 펀드 상품입니다.


b26777f19341d0abd6419e6ba952d761_1725458331_8671.png
고점에 도달 했네요. 단 미국의 QQQ, SPY처럼 넘어서지는 못했습니다.


b26777f19341d0abd6419e6ba952d761_1725701986_8038.png
금요일(2024.09.06) 미장이 떨어졌으니 월요일 국내증시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떨어지겠으니 1만원 아래면 진입해도 비싸게 진입하는것은 최소한 아니겠네요. 그리고 9500원 아래면 더더욱 그렇겠습니다. 그런데 2024년 9월 말쯤 이 이 가격에서 20% 정도 하락 할까요? 우선 지금 부터 10%만 더 하락해도 30% 정도는 들어가는것을 고민해야 겠습니다.(9월 13일 인데 미장은 9월 16일 부터 떨어 질꺼야~~) 계획을 세우고 분할 매수 하는것이 중요 하겠습니다. 욕심은 별도 챙겨야 겠습니다.



b26777f19341d0abd6419e6ba952d761_1725458396_9567.png
코스닥 만큼은 아니지만 거의 고점 부근에 있습니다.


미장으로 많이 간 사황에서 국장에서 종목의 숫자는 늘어나고 있어 한곳으로 집중력이 떨어져 전체 지수는 빠졌지만 상위 기업만 담아 놓은 펀드의 현황을 보면 이전 고점 부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쉬운것은 다른 나라처럼 넘어서지 못한 부분인데요. 이 부분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요.

옆 대륙은 우리나가 보다 상장되는 기업의 숫자가 더 심해서 지수 투자는 안하는 것이 좋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나마 우리나라는 낳은 형편이라는!!!


* 참고하면 좋은글

  - 기관, 외국인 수급을 참고해야 하는 이유 > 투자기초 

  - 미국 투자심리, % 불베어 스프레드(Bull-Bear Spread) > 투자심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5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키움증권은 CMA가 없습니다. 알아보니 정말 없네요 필요하면 다른 증권사 이용해야 합니다.그래서 이번에 소개해줄 상품은 CMA와 비슷한 상품의 소개 입니다.그리고 이건 IRP 계좌에서 CMA가 없기 때문에 CMA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 상품을 이용하는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이율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면됩니다. 단, 매수 수수표가 있습니다.CMA는 원금보장이 안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이 상품 원금보장 안되는것과 큰 차이는 없다고 봅니…
  • profile_image 투자를 할때는 시장을 사는 방식과 개별주식을 투자하는 두가지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을것 같습니다.결론부터 말하면 시장을 사는 방식도 크게 나쁘지 않습니다.* 시장을 사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것이 있습니다.. ETF: 코덱스, 코스닥150, 타이거, SPY, QQQ* 개별주식의 방식은. 삼성, 현대건설, 대한항공 등 유망할것으로 보이는 개별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입니다.여기서 시장을 살때 상승장이라고 생각이 들면 레버리지 상품을 사는 방식이 있는…
  • profile_image ETF가 뭔가요. 전체 시장 또는 섹터별 시장을 사는 방식 입니다.그리고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은 주식만 있는것이 아니라 채권, 예금, 원자재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간혹 모두가 같이 폭락을 하지만 때로는 서로 보완을 해주곤 합니다.꾸준한 수익을 내는 올웨더 포트폴리오란 간단하게 말하면전체 주식 시장을 묶어 놓은 KODEX ETF에 전체 투자자산의  ETF의 묶음이라고 생각해도 된다고 설명을 합니다.(미국엔 상당된 ETF 도 있습니다: 단, 큰 …
  • profile_image 사람의 본성은 작은힘으로 큰것을 얻고자 합니다.금융에선 빌려서 사용하는 방법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여기선 ETF펀드의 레버리지에 관한 것입니다.하락용, 상승용 레버리지에 구분은 여기서 하지 않습니다.가장 단순하게 레버리지의 위험성에 대한 것입니다. ● 가장 간단한 예로 2배 레버리지 입니다.(국내 3배가 없어 다행 입니다.) - 사례1) 100원이 2배(100%) 오르면 200원이 됩니다. - 사례2) 100원이 절반(50%) 떨어지면 0원이 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