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실수 할 수 있는 "가격착각"에 대해서 > 투자심리
투자심리

크게 실수 할 수 있는 "가격착각"에 대해서

조회 63회 댓글 0건

떨어 졌을때 싸다고 생각하여 매수 했다가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크게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같은 만원이어도 작년의 만원과 올해의 만원은 같은 만원이 아닐 수 있습니다.

투자에서 사람들이 단순히 절대적인 가격만을 보고 "싸다"고 느끼는 것을 흔히 "가격 착각"(Price Illusion)이라고 하는데 이런 현상은 투자자가 회사 가치(펀더멘털)보다는 주가의 과거 가격이나 심리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나타나는데 이는 계산을 해보지 않고 생각으로만 판단하면 이런 문제가 발생 합니다.

73de0e8c97fee7f72c8c6b15c3cd4b5b_1732085110_8656.png
 

● 가격 착각의 특징

주식의 과거 가격이 현재보다 높으면 투자자들은 그 주식이 "싸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회사의 내재 가치(예: 수익성 성장 가능성 자산 등)가 하락하거나 악화된 경우라면 낮아진 주가는 오히려 비쌀 수도 있습니다


● 오해와 위험성

낮은 주가는 반드시 "싸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주가는 회사의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치보다 더 높은 가격이면 여전히 비쌀 수 있습니다

PER(주가수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같은 지표를 통해 회사의 가치를 분석하지 않고 단순히 가격만 보고 매수하면 손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 올바른 판단 기준

싸다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회사 가치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었는지를 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내재 가치가 2만 원으로 평가되는 회사가 1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면 이는 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회사 가치가 5천 원인데 주가가 5천 원으로 하락했더라도 적절하거나 비싸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냐

단순한 가격 착각에 빠져 투자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를 "내재 가치 분석 부족"(Lack of Fundamental Analysis) 또는 "가격 지향적 투자"(Price-Based Investing)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사람은 머리 쓰는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이런것 하는것 이전에 생각 자체를 본인도 모르게 하기 싫어 하기 때문에 누군가에게는 항상 일어납니다.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 공부와 경험이 필요하며 충분이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었을때 큰 비중을 가져가야 합니다.

지나보면 알지만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16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2일에 spy가 -10% 이상 떨어진 경우가 1950년 이후 얼마 안된다고 하네요.관세 문제 때문에 주가 폭락하는데...강대국은 그래 한번 해보자어중간한 국가는 관세는 관세대로 맞고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문제는 서로가 꿀리면 가오가 상하기 때문에 우리 선조들의 무라도 썰어야지가 있다는 것!!여기서 재미 있는 글을 쓴 사람이 있어서 올립니다.부자들이 88% 가지고 있어서 괜찮아!!이 게 주 내용인데요. 오히려 이사람들은 분산투자하고 레…
  • profile_image 1051 키움증권의 종목별잠정투자자추이를 통해서 기관이나 외인이 매수하는지 추측해 볼수 있는데 정확하지 않습니다.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개인이 많이 팔고 있는지 사고 있는지에 대한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요 이 부분이 더 맞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예전엔 이런정보 많이 활용했었는데 최근엔 맞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지요외인, 기관이 본인들 하는것에 개인이 끼는것이 좋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방법은 간단 합니다.개인이 많이 사용하는 키움, 미…
  • profile_image 요즘 코인 불장에서 레버리지 상품 이용해서 아침에 털리는 일이 발생한다고 하네요.주식시장에선 3x 까지 있고 국내는 2x 까지 있는데요 코인시장은 10x도 있는데 이것은 투자자를 위한것이 아니라 털어먹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 생각해 본 있나요?누군가 손해를 봤다는 것은 누군가는 반대로 이익을 보는 구조 입니다.우리가 대출을 받으면 이자를 내는데 레버리지 상품은 약간의 수수료가 더한것 이외에는 왜? 없는지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 profile_image 사람은 쉽게 계산을 하기 위해서 딱딱 끊어지는 숫자를 선호하는 편입니다.9만 9천 5백원 보다는 10만원이 말하기도 편하고 계산하기도 편합니다.이게 재미 있는것이 10진스와 시간같은 6진수 형태등 다른 진수와 무관하게 숫자 단위가 바뀌는것에 민감해하고 한번 자리 잡은 가격은 고수 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런것을 라운드피겨 가격이라 합니다. 라운드피겨(Round Figure) 가격이란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이 정수 단위의 주요 가격을 말합니다 …
  • profile_image 켈리공식에 대해 설명할때 비중베팅이라고 하는데요 비중이란 들어가는 금액을 말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 입니다.투자해야하는 돈에 대한 것이 아니라 승율을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가 더 중요합니다.계산을 해보면 아는데요.하루 2회 투자해서 한번은 60% 먹고 두번째는 -40% 손해라면 언듯 생각하면 이익일것 같지만 실제는 손해 입니다.순서는 손해인것을 먼저해도 결과는 동일 합니다. 이익과 손해에 대한것은 금액이 아니라 비율인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위…
  • profile_image 편향된 시각을 가지거나 한것 자체는 사람이 타고난 것이기 때문에 이상하게 생각할것은 없다고 봅니다.다만, 내가 그런것을 인정하고 잘못 보고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하는것이 더 중요 하겠지요.그리고 우리는 우리 주변의 보고 듣는것에 의해서 나도 모르게 편향된 사고를 가지게 됩니다. 옛부터 세뇌에 대한것이 있었다는 책이 있던데 당장 필요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읽고 싶지만 그렇게 하고 있지 못하고 있네요.대부분 트럼프를 좋아하는 쪽은 아니지요.(이해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