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계산에 의한 비중베팅과 캘리공식 > 투자심리
투자심리

정확한 계산에 의한 비중베팅과 캘리공식

조회 31회 댓글 0건

켈리공식에 대해 설명할때 비중베팅이라고 하는데요 비중이란 들어가는 금액을 말하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 입니다.

투자해야하는 돈에 대한 것이 아니라 승율을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계산을 해보면 아는데요.

하루 2회 투자해서 한번은 60% 먹고 두번째는 -40% 손해라면 언듯 생각하면 이익일것 같지만 실제는 손해 입니다.

순서는 손해인것을 먼저해도 결과는 동일 합니다. 

이익과 손해에 대한것은 금액이 아니라 비율인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32dc208dea0bf93f006a27ae3ceb49ae_1733019365_1421.png
위 계산은 켈리공식은 아닙니다. 제가 관련된 계산을 하면서 제목을 저렇게 만들었는데 파일 관리를 실 수 해서 날라갔습니다.


계산을 해보면 최소 2배는 되어야 이익임을 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추가적인 거래수수료등 다른 비용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런 계산을 해보지 않고 계좌를 보면 분명 이익이었는데 녹아 있는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켈리공식 - 복잡하게 생각할것 없이 위처럼 실패율보다 이익율이 두배는 되어야한다.

켈리공식(Kelly Criterion)은 도박과 투자 분야에서 사용되는 수학적 공식으로 주어진 확률적 게임이나 투자에서 최적의 베팅 크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존 래리 켈리(John Larry Kelly Jr.)가 개발했으며 장기적으로 자본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f* = (bp - q) / b


여기서:

f* = 총 자본 중 베팅해야 할 비율

b = 베팅의 배당률 (win/stake)

p = 승리할 확률

q = 패배할 확률 (1 - p)


마지막으로 비중 베팅할때 확실한것이라고 생각할때 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절대 몰빵은 안됩니다.

아무리 승율이 90% 이상이어도 몰빵으로 한번 -90% 손해 볼 수 있기 때문에 그런데 이 문제로 항상 금액을 일정하게 하거나 정말 확실하다고 생각하면 평소 2배정도로 하고 버티는 것입니다. 가장 확실할때가 가장 위험할 때라는 말이 괜히 있는것이 아닙니다. 승승장구 하다가 단 한번의 실수로 나락의 길로 갈 수 있다는 것을 절대 잊어서는 안됩니다.


능력의 종류는 다양하며 잘 지키는것도 큰 능력중의 하나 입니다.


▶ 투자금액 비중은 - 아래 주소의 13장 자금관리 부분도 좋습니다.

   - 중요한것은 승율입니다. 하지만 기법보다 중요한것이 계좌관리 심법관리 라고 합니다.

   - 장단기투자의 비밀 - 래리윌리엄스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14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요즘 코인 불장에서 레버리지 상품 이용해서 아침에 털리는 일이 발생한다고 하네요.주식시장에선 3x 까지 있고 국내는 2x 까지 있는데요 코인시장은 10x도 있는데 이것은 투자자를 위한것이 아니라 털어먹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 생각해 본 있나요?누군가 손해를 봤다는 것은 누군가는 반대로 이익을 보는 구조 입니다.우리가 대출을 받으면 이자를 내는데 레버리지 상품은 약간의 수수료가 더한것 이외에는 왜? 없는지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 profile_image 사람은 쉽게 계산을 하기 위해서 딱딱 끊어지는 숫자를 선호하는 편입니다.9만 9천 5백원 보다는 10만원이 말하기도 편하고 계산하기도 편합니다.이게 재미 있는것이 10진스와 시간같은 6진수 형태등 다른 진수와 무관하게 숫자 단위가 바뀌는것에 민감해하고 한번 자리 잡은 가격은 고수 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런것을 라운드피겨 가격이라 합니다. 라운드피겨(Round Figure) 가격이란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이 정수 단위의 주요 가격을 말합니다 …
  • profile_image 떨어 졌을때 싸다고 생각하여 매수 했다가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크게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같은 만원이어도 작년의 만원과 올해의 만원은 같은 만원이 아닐 수 있습니다.투자에서 사람들이 단순히 절대적인 가격만을 보고 "싸다"고 느끼는 것을 흔히 "가격 착각"(Price Illusion)이라고 하는데 이런 현상은 투자자가 회사 가치(펀더멘털)보다는 주가의 과거 가격이나 심리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나타나는데 이는 계산을 …
  • profile_image 편향된 시각을 가지거나 한것 자체는 사람이 타고난 것이기 때문에 이상하게 생각할것은 없다고 봅니다.다만, 내가 그런것을 인정하고 잘못 보고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하는것이 더 중요 하겠지요.그리고 우리는 우리 주변의 보고 듣는것에 의해서 나도 모르게 편향된 사고를 가지게 됩니다. 옛부터 세뇌에 대한것이 있었다는 책이 있던데 당장 필요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읽고 싶지만 그렇게 하고 있지 못하고 있네요.대부분 트럼프를 좋아하는 쪽은 아니지요.(이해하기 …
  • profile_image 미국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에  대한 평균적인 그래프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게 된다기 보다 왜? 그런 현상이 생길 수 있는지가 중요 한데요. 올해는 1월부터 미국 주식시장은 엄청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끝없이 높은 산은 없듯이 주식시장도 그렇습니다. 누가 본래 이때 빠진 경우가 많아 언론에서 이유를 트럼프, ... 많이 붙이는데 그런게 아니라 본래 그랬어~라고 올린것이 있어서 가져 왔습니다.가을에 열띤 토론이많을때 떨어진다고…
  • profile_image 주식만 해당하는것은 아니라 부동산, 코인 시장도 크게 다르지 않을것이며 누가 뭘 사서 얼마 벌었다는 소문이 점점 커지면서 더 사줄 사람이 없을 때 까지 지속됩니다.왜? 무엇 때문에 돈을 벌게 되었는지 확인해 봐야 하는데 사람의 특성상 여러사람이 토론하고 회의를 하면 덜한데 혼자 생각하면 이 문제는 더 크게 됩니다.위에 덜 하다는 것을 명심하세요.(케네디 대통령은 왜? 장관인 동생에게 넌 앞으로 무조건 반대만 해 라고 했을까요?)주식투자에서 '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