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복제 1053 오류 발행하여 Slave 멈춘경우 > 리눅스서버
리눅스서버

[MySQL] 복제 1053 오류 발행하여 Slave 멈춘경우

조회 214회 댓글 0건

보통 슬레이브에서 멈추는 경우는 일관성이 없거나 더 이상 진행을 못하거나 입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경우들입니다.

- 유니크 설정으로 키 중복 오류가 발생한 경우

- 업데이트 하려 하는데 마스터에 있는데 슬레이브에는 없네


이번 발생한 것은 skip 하여 정상 처리 되었지만

왜? 발생했는지 의문이 드는것중 하나 입니다. LOCK 이야기가 있는 게시물이 있기는 했지만 그 문제는 아닌 테이블 입니다.

내용에는 일관성이 없다고 하였지만 일반 업데이트 인데!!

>> 추측되는것은 마스터의 쿼리가 슬레이브로 넘어 갔는데. 마스터에선 완료 되지 못하고 죽었다.(마스터에서 죽이는 기능이 있기는 함)

    복제 쿼리는 마스터에서 완료된것만 넘어가는 것인가? 완료되지 않았는데 넘어 가나.! 이건 대용량 테이블 하나 만들어 테스트 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671a3b184d8191ab847893019840df74_1678450796_9952.png
 


이런 오류를 만났습니다.

Query partially completed on the master (error on master: 1053) and was aborted. There is a chance that your master is inconsistent at this point. If you are sure that your master is ok, run this query manually on the slave a

nd then restart the slave with SET GLOBAL SQL_SLAVE_SKIP_COUNTER=1; START SLAVE; . Query: 'UPDATE pds.data SET vw=vw+1 WHERE keyn=1234'


위를 구글에게 물어 봤더니 

마스터에서 쿼리가 부분적으로 완료되어(마스터 오류: 1053) 중단되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마스터가 일관성이 없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스터가 정상이라고 확신하는 경우 슬레이브 에서 이 쿼리를 수동으로 실행하십시오. 그런 다음 SET GLOBAL SQL_SLAVE_SKIP_COUNTER=1로 슬레이브를 다시 시작합니다.
슬레이브 시작; . 쿼리: 'UPDATE pds.data SET vw=vw+1 WHERE keyn=1234' 


● 1236은 아래를 참고 하시면 됩니다.

   [MySQL] 복제 1236 에러(Got fatal error 1236 from master)  

 

● MySQL 테이블 체크를 해야 된다면 아래를 참고

   php를 이용한 MySQL, MariaDB DB 테이블 체크 프로그램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106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싱글유저, 멀티유저, GUI환경의멀티유저 이렇게 크게 3가지 형태를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래픽 환경의 런레벨은 리눅스에서 5 입니다.리눅스에서 이런 환경을 런레벨이라고 합니다.흔하게 볼 수 있는 멀티유저의 텍스트 기반은 3입니다. 이것이 디폴트 이고 간혹 싱글유저로 들어가야 되는 경우가 있는데 1입니다.간단하게 명령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init 숫자 입니다.그렇기 때문에 텍스트 환경에서 그래픽환경으로 변경하고 싶으면 init 5 하면…
  • profile_image 예전에 만들어 잠깐 사용하던 배포하는 스크립트 입니다.원격서버가 있고 사내에서 작업한 것을 배포하는 방식인데 요즘 우리가 클라우드를 통해서 배포하는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쉘스크립트로 배포하기(deploy) 기본 방식은 이렇습니다.압축을 하고 전송하고 압축을 풀어주고. 심볼릭링크를 변경하여 주며 캐쉬된것이 문제 될 수 있으면 웹서버관련된것을 재시작 시켜 주는 방식입니다. 아래 쉘스크립트 배포하는것은 ssh를 사용하며 pssh를 사용하는것…
  • profile_image 리눅스는 즉, 유닉스에선 오래전부터 사용하던 것은 tar.gz 입니다. 타르와 gzip이 합쳐진 형태 하지만 최근에는 zip파일도 쓰이고 7zip도 사용이 됩니다.전 일반적으로 tar.gz만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불편함도 없기 때문에 문제 되지 않는데 다른 곳에서 받은 파일을 풀어야 할 때는 문제가 됩니다.간혹 있는것이 gz2 입니다. zip은 사실 리눅스에서 그리 흔하게 받아 사용하진 않습니다.아래는 압축을 풀때 사용하기 위해서 간단히 정리…
  • profile_image letsencrypt 사용할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단일 도메인만 설정 했다가. 와일드카드로 신청하거나 하면서 일부를 임의로 삭제 하거나 하는등 꼬여서 뭔가 잘못되면 그렇습니다.이럴때 해당 디렉토리 가서 삭제 하면 안되고 반드시 명령을 통해서 삭제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Saving debug log to /var/log/letsencrypt/letsencrypt.logRenewal configuration file /e…
  • profile_image data.TRG 리눅스에 MySQL을 설치 했는데 확장자가 TRG인것이 있는데 어떤 파일인가 궁금하죠.이건 트리거가 설정 되어 트리거 명령이 저장된 파일 입니다.트리거는 컴앤드 라인에서 목록을 출력 할 수 있습니다.mysql> show triggers; 트리거 사용시 단순 SQL만 나열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면 간혹 데이터가 어긋나 있는것을 볼 수 있을 수있습니다.서버가 바쁜가 그렇지 않은가에 달라질 수 있지만 반드시 모두 100% 성공했다고…
  • profile_image TV나 영화에서 보면 알수 없는 많은 글자가 실시간으로 나오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이렇게 실시간으로 로그에 쌓이는것을 보는 명령은 tail 입니다.리눅스 명령에서 파일의 앞쪽을 보는 명령은 head 입니다.예를 들면 "head -n 10 파일명" 하면 앞에서 부터 10줄 보여줍니다. 웹로그 이든 시스템로그 이든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터미널로 출력하는 명령은 tail 입니다.tail은 head와 반대로 파일의 끝을 보는 명령입니다."tail 파일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