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find로 특정파일이 특정 날짜 이후에 수정된것만 찾아 복사하기 > 리눅스서버
리눅스서버

[Linux] find로 특정파일이 특정 날짜 이후에 수정된것만 찾아 복사하기

조회 30회 댓글 0건

리눅스에서 find 명령어를 사용하여 특정 날짜 이후에 수정된 .php 파일을 찾는 방법은 이렇다


이 find 명령어는 /path/to/search 디렉토리부터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검색하여,
.php로 끝나는 파일 중에서, '2023-02-01' 이후에 수정된 모든 파일을 찾는다.


  find /path/to/search -name "*.php" -type f -newermt "2023-02-01"
 


-name 옵션은 어떤 확장자를 찾을 건가
-newermt 옵션은 'modification time'보다 더 최근에 변경된 파일을 찾는 옵션

find 명령어로 찾은 파일을 rsync로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하려면 아래와 같이



  # 이렇게 하면 파일만 복사가 된다
  find /path/to/search -name "*.php" -type f -newermt "2023-02-01" -exec rsync -avz {} /destination/path/ \;

  # 디렉토리까지 복사를 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해야 함.
  find /path/to/search -name "*.php" -type f -newermt "2023-02-01" > /root/files_to_copy.txt
  rsync -avz --files-from=/root/files_to_copy.txt / /destination/path/
 


-exec 옵션은 find 명령어로 찾은 각 파일에 대해 지정된 명령어를 실행하라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rsync -avz {} /destination/path/ 명령이 실행되며, 여기서 {}find로 찾은 파일을 의미합니다.

rsync -avz 옵션은 파일을 복사하면서 원본의 수정 시간, 권한 등의 정보를 유지(-a), 상세 정보를 출력(-v), 압축하여 전송(-z)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z 옵션은 압축이라서 붙이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압축하는 시간 때문에 더 느린경우도 있고. 압축파일 압축하면 효율도 얼마 안되고
마지막으로 rsync 사용시에는 마지막에 / 붙여 주는 습관이 좋습니다. 명확하게 "디렉토리 안"이라는 의미

위 find로 찾은것에 대해 갯수가 적은 편이며 서로 다른 서버에 있는 파일의 날짜를 확인 하고 싶다면 아래를 참고 하세요~


  # 단일 파일 여러개 - 아래를 스크립트로 만들어 출력해 보기
  ls -al /root/1.txt | awk '{print $6,$7,$8,$9}'
  ls -al /root/2.txt | awk '{print $6,$7,$8,$9}'
  ls -al /root/3.txt | awk '{print $6,$7,$8,$9}'

  # 파일목록을 가지고 있는 파일이 있을 경우 아래 처럼 한줄로 날짜 확인이 가능
  cat files_to_copy.txt | while read file; do stat -c '%y %n' "$file"; done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152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소트 옵션 다음에 -(마이너스)가 있으면 내림차순 없거나 +(플러스)기 있으면 내림 차순으로 정렬이 됩니다. 메모리 사용량 확인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 하는데 있어 한 화면에 필요한 것만 보기 위해서 awk를 파이프로 넣어 사용 했습니다. 또는 스왑메모리 확인 하는것 처럼 상위 10개만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 메모리 사용량 순으로 보기  ps aux --sort -rss | awk '$4!=0.0'  # 메모리 사용량 0.1 이상인 프로세스…
  • profile_image PID 프로세스 ID 값을 저장해서 보통은 같은 프로그램 실행 할때 이전에 실행된 프로그램이 있으면 kill 처리 하면서 다시 실행 시키는데 여기선 PID 값을 저장하지 않고 pkill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kill 처리 후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kill 처리 하지 않고 스케줄에서 일정 시간마다 실행 시키면 이전 프로그램이 종료가 안된 경우는 계속 같은 프로그램이 쌓여서 종국에는 시스템 자원이 고갈되어 서버 죽습니다.P…
  • profile_image > $log_file 2>&1 & 부분은 리다이렉션과 백그라운드 실행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부분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1. > $log_file: 이 부분은 표준 출력(Standard Output, 보통은 커맨드 라인에 출력되는 내용)을 $log_file이라는 파일로 리다이렉션(즉, 출력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동안 출력되는 모든 내용은 $log_file에 지정된 …
  • profile_image pkill -f 명령은 인자로 주어진 패턴이 프로세스의 명령 줄 전체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f 옵션을 사용하면 프로세스의 이름뿐만 아니라 인자들까지 포함하여 패턴 매칭을 합니다.예를 들어 pkill -f '/home/chk.php real' 이라는 명령은 문자열을 명령 줄에서 찾아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따라서 명령 줄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프로세스가 있어야 종료할 수 있습니다.만약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프로세스를…
  • profile_image 필요에 따라 인증을 하는데 있어 HTML 페이지를 통해 하지만 브라우저를 통해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헤더를 사용하는 경우인데요.  header('HTTP/1.1 401 Unauthorized');  PHP-FPM 사용시 전달이 안되는 경우는 웹 서버 설정에서 FastCGI로 전달될 환경 변수를 설정해야 합니다. PHP_AUTH_USER와 PHP_AUTH_PW는 HTTP 기본 인증에 사용되는 변수들입니다. 이런 값을 설정…
  • profile_image 자신의 네임서버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 하는 용도로 사실상 많이 쓰입니다. 설정을 했는데 실제 네임서버에서 잘 반영 되었는지 궁금 하지요. 그리고 다른 네임서버로 퍼지는데는 시간이 좀 소요 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TTL을 좀 짧게 주면 빠르게 갱신이 되지만 캐쉬의 시간과 관계가 있어 무조건 좋은것 만은 아닙니다. 예를 들면, SPF 설정, DKIM, _acme-challenge 인증용, DMARC 등 확인을 위해 네임서버에 적어 놓으…
  • profile_image  ssl인증서를 갱신하는데 비밀번호가 걸려 있는 인증서가 있을 경우 웹서버 적용할때 비밀번호를 입력해 줘야 합니다. 이게 한대이거나 하나의 사이트만 서비스하는것이 아니라 갯수가 많다면 웹서버 재시작할때 마다 비밀번호를 다 넣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그냥 restart 하면 웹서버 뜨지 않는 경우도 있고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인증서에 비밀번호가 걸려 있는지 확인하려면 OpenSSL 명령어를 사용해 확인해볼 수 있는데요. 콘솔에 접속한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