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압축 프로그램(zip, gz, bz2) > 리눅스서버
리눅스서버

리눅스 압축 프로그램(zip, gz, bz2)

조회 76회 댓글 0건

리눅스는 즉, 유닉스에선 오래전부터 사용하던 것은 tar.gz 입니다. 타르와 gzip이 합쳐진 형태 하지만 최근에는 zip파일도 쓰이고 7zip도 사용이 됩니다.

전 일반적으로 tar.gz만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불편함도 없기 때문에 문제 되지 않는데 다른 곳에서 받은 파일을 풀어야 할 때는 문제가 됩니다.


간혹 있는것이 gz2 입니다. zip은 사실 리눅스에서 그리 흔하게 받아 사용하진 않습니다.

아래는 압축을 풀때 사용하기 위해서 간단히 정리해 두었습니다.


* zip 파일 압축을 풀어주기

unzip 압축파일.zip -d 결과폴더


* 리눅스에 zip 설치 하기

yum search zip

yum -y install zip

yum -y install unzip


* 우분투에서 zip 설치

sudo apt-get install zip unzip


* bz2 압축 해제

이건 많이 사용되 zip이나 gzip보다 압축율이 좋지만 약간 느린점이 단점이다.

압축은 bzip2   으로하고 풀기는 bunzip2로 한다. 

bunzip2 p7zip_9.04_x86_linux_bin.tar.bz2 


970647bcdd7d460979d1bfb9205e94da_1685347090_2798.png
 

* gzip

압축하면 .gz 확장자가 생긴다. 이것은 압축만 하고 묶는것은 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묶어 주는 tar와 같이 사용한다.

보통 다음과 같이 압축을 한다. 


tar cvf - 압축할파일 | gzip -9 > 결과파일.tar.gz

tar cvf - 압축할파일 | gzip -9 > 결과파일.tgz


풀때는 보통 다음과 같이 한다. z 옵션을 넣어 주면 gzip으로 풀기 까지 한다.

tar cvfz 압축파일.tgz


gzip로 압축된 파일을 풀어주기만 하는 방법은

gzip -d 압축파일.gz 하면 된다.


---------------------------------------------------------


타르의 경우는 아래 처럼 하는데 윈도우 사용자는 잘 모르는 형태이기 때문에 집파일로 압축을 해주는 것이 좋다. 

타르+gzip의 예 이다: tar cvzf - 압축파일명.tar.gz  test/*

타르(tar)은 묶는 기능만 있으며 압축은 gzip이 하는 것이다. 위에서 z 부분이 gzip을 사용 하는 것임.


리눅스 zip 압축 하위폴더

zip -r test.zip zip/


파일이나 폴더 압축 하위까지 하려면 -r 주는 것이 좋다.

zip 압축할파일명.zip 압축할파일1 압축할파일2 압축할폴더/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122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메시지 내용을 잘 확인 하면 알 수 있습니다. mysql 1593은 식별하는 장치의 id 값이 같아서 생긴 문제 입니다.즉, 마스터의 server-id 값과 슬레이브의 server-id 값이 같아서 생긴 문제 입니다.다르게만 하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 2번 부터는 문제가 생길수도 있고 안생길 수도 있습니다. 재시작 하면 파일이 다시 생기기 때문에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조치 방법은1) 마스터의 서버id 변경환경설정의 [mysqld] 하위에 마스…
  • profile_image 리플리케이션(복제) 설정으로 이루어진 MySQL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슬레이브쪽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에서 흔하게 발생하지 않는것중 하나인 1594에 관한것입니다. 이 오류는 경험이 없을 경우 서버리스가 아니라면 시스템에서 백업을 받아 놓은뒤 복구 하는것을 권장 합니다. 슬레이브 상태 오류코드('SHOW SLAVE STATUS' on this slave. Error_code: 1594) 1594 오류에 관한 것인데 주의 사항만 적고 싶어서 작…
  • profile_image 주로 데이터를 입력할때의 특징에 대한것으로 엄격하게 관리를 할거냐 아니면 일부 문제가 있어도 문제가 될것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 위주로 할것이냐에 대한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데이터의 문제는 입력하는 프로그램 단계에서 검증을 하는 방법이 있겠지만 최종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를 하게 되면 더 완벽하게 됩니다. 문제는 어떤것이든 쉽게 얻어 지는 것은 없으니 그에 대한 댓가가 있습니다. 이 댓가가 어느쪽이 더 이익이 되느냐의 문제 이겠…
  • profile_image 기본적으로 AL2(아마존리눅스2)나 CentOS7 이상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메일 서버인 postfix에 대해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그리고 AWS는 SES라는 메일 서비스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EC2에선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면 별도 허가를 받기전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postfix 메일 서버 내리기 아래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메일 포트가 있는 경우 AL2나 CentOS에서는 postfix라는 메일 프로그…
  • profile_image 마스터에 생성되는 바이너리 로그 삭제에 대한 것이다.  MySQL, 마리아DB 바이너리 로그 실시간 삭제 마스터 슬레이브 구조에서 슬레이브에서 데이터를 가져가기 위해서 필요한것이 마스터에서 생성되는 바이너리 로그인데 너무 많아 지면 용량이 부족하여 더 큰 문제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날짜 설정 /etc/my.cnf에서 설정하면 재시작해야 적용이 되기 때문에 재시작 없이 적용을 시키고 싶은 경우 이렇게 해주면 된다…
  • profile_image 불필요한 레포티지를 굳이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또는 실수로 설치하는 문제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 아니면 삭제를 하는것이 좋은데 yum에서 삭제하는 명령이 없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삭제 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활성화된 yum 리포티지 목록 보기 및 삭제 현재 설치가 된것이 무엇인지 확인 합니다. yum repolist예를 들어 remi 패키지를 삭제 할 경우  환경 파일 삭제 cd /etc/yum.repos.d/ rm -…
  • profile_image 아마존리눅스 설치하게 되면 기본 타임존이 UTC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에서 사용하게 되면 KST로 변경을 해줘야 하는데 아래는 그 방법 입니다.AL2, AL2023 등 현재까지의 모든 버전에서 변경하는 방법은 동일 합니다.AWS 리눅스 타임존 변경( UTC -> KST) AWS에서 제공하는 리눅스를 설치하면 타임존이 UTC로 되어 있어 국내와 맞지 않는 문제로 변경을 해서 사용해야 한다. 타임존 변경 방법1) 변경 방법은 다음과.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