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ap memory(스왑 메모리 만들기) 추가/삭제 방법 (서버 메모리 부족 할 때) > AWS.클라우드
AWS.클라우드

swap memory(스왑 메모리 만들기) 추가/삭제 방법 (서버 메모리 부족 할 때)

조회 272회 댓글 0건

리눅스에서 서버 메모리가 부족하여 문제가 발생할 때 디스크에 스왑메모리 생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기존의 스왑메모리가 있는 경우가 추가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현재의 스왑메모리가 부족한 경우도 문제 없이 추가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서버 메모리 부족 할 때 swap memory(스왑 메모리 만들기) 추가/삭제 방법

대락적은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메모리 상태를 먼저 확인 한다.

free

free -m


2) 스왑파일용 빈 파일 만들기

/SWAP/FILE_01 

- 16 기가 짜리를 생성 합니다.

- 블럭을 1M로 설정. 이부분은 자신의 상황에 맞게 합니다. 보통 4k일 것입니다.


dd if=/dev/zero of=/SWAP/FILE_01 bs=1M count=16000

chmod 600 /SWAP/FILE_01


3) 스왑파일로 사용하겠다고 설정

스왑파티션으로 만드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 대문자 형태의 디렉토리로 만들어 줬습니다.

mkswap /SWAP/FILE_01


4) 스왑파일 적용(사용)

이렇게 수동으로 만들어주는 경우는 부팅할 때 적용 할 수 있도록 추가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swapon /SWAP/FILE_01


# 스왑파일 해제(사용안함)

#swapoff /SWAP/FILE_01


5) 메모리 상태 보기

기존에 설정 되어 있는것에 추가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free

free -m


간단합니다. 이렇게 하면 물리적인 메모리 보다는 느리겠지만 없는것 보다는 훨씬 좋은 성능을 보이며 임시 방편으로 부족한 서버의 메모리를 늘려? 사용이 가능합니다.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24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대부분의 업체에서 그렇지만 들어가는 것은 돈을 받지 않습니다.받을 필요가 없는 상태 입니다. 회선이 남아 돌기 때문에 서버에서 나오는것만 비용을 받습니다.AWS에서 요청횟수에 대해서도 비용을 받는것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클라우드프론트 입니다.HTTP,HTTPS 차이에서도 비용이 다른서비스도 있습니다. 물론 엄청큰 비용을 받지는 않고 대부분 무시 합니다. 아래는 자주사용하는 서비스인 EC2, 클라우드프론트, S3의 비용을 볼 수 있는곳입니다.비…
  • profile_image AWS에서의 네임서버는 상품명이 Route53 입니다. 53은 네임서버의 기본포트 입니다. 유용한 기능중에서 헬스체크란 것이 있습니다. 많은 양의 서버를 가지고 있다면 ELB 같은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그런데 ELB는 하위에 최소 2대가 있어야 하고. ELB 비용도 지불을 해야 합니다.일반적으로 서버장애가 잘 나지 않고 트래픽이 많지 않은 경우 동시 2대 운영하면서 1대 장애가 발생하면 1대를 제외하여 서비스를 지속하고 싶은경우 사용하…
  • profile_image 라이트세일의 S3는 작년인가 생긴 서비스 입니다.사용은 안하고 있지만 예상가능한 서비스로서 오늘 확인한 결과를 올립니다.결론 부터 말하면 사용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아니면 다른 업체를 생각해 보는것도 좋을듯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라이트세일의 S3는 위와 같이 용량을 선택하게 되어 있습니다.  - 추가 전송용량에 대한 금액은 알 수 없다. 기본양을 준다(무료)  - 쓰는만큼 비용을 지불하는것이 아니라 블록스토리지 처럼 정…
  • profile_image 누가 회사가 아닌 다른곳에서 로그인 했는지 가끔 확인이 필요 할 때가 있는데요. 검색해 보면 의외로 찾기 힘든것중 하나 였습니다.로그인의 기록에 대해 볼 수 있는 컨텐츠의 설명이 생각보다 없는것입니다. AWS에 로그인 및 여러 설정에 대한 기록은 CloudTrail 서비스를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볼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추가적인 설정 같은것이 필요한것은 아닙니다. 어떤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CloudTrail 에서 IP 보는것이…
  • profile_image 리노드 같은곳은 낮은것에서 높은것으로 늘리는 기능이 있어 좋은데요. 아마존은 보이질 않습니다. 콘솔등 몇가지 불편한것이 있는데 다른 기능때문에 AWS를 떠나지 못하고 있는데 용량을 늘리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직접적인 메뉴의 기능으로 상위 용량으로 늘리는 방법은 없습니다.* 라이트세일 인스턴스 용량을 늘리는 방법 1) 스냅샷을 생성한다.2) 생성된 스냅샷을 이용해서 "새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원하는 용량을 선택한다. 라이트세일에서 EC2로 …
  • profile_image 비슷한 2개의 OS를 사용한 후기 입니다. 결론 부터 말씀 드리면 많이 사용하는 OS 사용하는 것이 일반인은 좋습니다.1) Amazon Linux 2CentOS 기반으로 만들어진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패키지 설치는 동일하게 yum을 통해 사용합니다.* 장점라이브러리 버전등은 높은 편입니다.http2 등 CentOS7에서 지원하지 않는 높은 버전의 아파치 버전까지 기본으로 지원이 됩니다.* 단점버전이 높은것(최신 버전을 제공한다는것) 자…
  • profile_image 포트의 경우 변경하면 반영 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안 때문에 selinux 끄고 해보세요.systemctl restart sshd 자체가 적용이 안됩니다.그리고 aws의 방화벽도 건드려 줘야 합니다.아래 환경설정 파일을 열어서 수정해 주는 것입니다.vim /etc/ssh/sshd_config# 필요한 경유 포트 변경포트는 변경하게 되면 방화벽도 같이 열려져 있는지 확인을 추가적으로 해줘야 합니다.Port 22# 루트유저로 로그인 가능하게P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