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오토스케일링 설정방법 - EC2 자동삭제/생성 > AWS.클라우드
AWS.클라우드

[AWS] 오토스케일링 설정방법 - EC2 자동삭제/생성

조회 23회 댓글 0건

EC2 인스턴스를 자동생성하는 오토스케일링

오토스케일링 그룹을 만들기 전에 아래 부분을 먼저 만들어 놓은 다음 진입을 하는것이 좋다.
VPC, 방화벽(보안그룹)
AMI 이미지, 시작템플릿
로드밸런스


시작 템플릿 또는 구성 선택

미리 만들어 놓은 시작 템플릿 선택

이름

고유한 이름으로 쉽게 식별 가능한것을 사용하면 좋다. test인경우는 후에 착각하지 않도록 반드시 붙여 주는것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서비스명을 넣어 주면 된다.

시작템플릿

미리 만들어 놓은 시작템플릿을 사용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한것으로 SSH 접속을 위한 키페어 선택과 인스턴스 강제종료를 할 것인가등 선택해 놓은 것으로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인스턴스 시작 옵션 선택

가용영역 서브넷 - 여러개 선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가용영역(건물)을 선택하면 랜덤하게 선택 되어지는데 명확한 것은 아니다. 그렇게 하려 노력한다는 의미의 메뉴얼이 있기는 하다.
VPC와 가용영역 및 서브넷은 미리 생성해 놓은것을 선택하면 된다.

인스턴스 유형 요구 사항

이전 페이지에서 선택한것이 나오며 다른것을 선택하고 싶으면 '시작템플릿' 재정의 버튼을 클릭하여 만들어 주면 된다.

고급 옵션 구성 - 선택 사항

가능하면 이 단계 들어오기전에 미리 로드밸런스를 만들어 놓는것이 좋다.

로드밸런스 선택

기존 로드밸런스 -> 로드 밸런서 대상 그룹에서 선택(http, https)

상태확인

Elastic Load Balancer 상태 확인 켜기 - 체크

추가설정

기본 인스턴스 워밍업 활성화 - 체크
시간은 최소 300초(5분) 정도 주는것이 좋다. 이건 생성하고 부팅하는 시간을 제외하고 체크 하겠다는 의미이다.

그룹 크기 및 크기 조정 정책 구성 - 선택 사항

그룹 크기 - 선택 사항

오토스케일링으로 생성된것을 의미하며 이미 수동으로 만들어진것은 여기서 관리 하는 것이 아니다.
즉, 그렇기 때문에 '원하는 용량' 선택한 수치 만큼 인스턴스가 만들어 진다.

  • 최소, 최대는 오토스케일링으로 생성된 인스턴스 수를 의미한다.
  • 다를 수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초기 만들어 질때 같은 가용영역에 모두 생성 된다.
  • 가용영역을 다르게 생성하고 싶은 경우 오토스케일링 그룹을 2개 만들어 서로 다른 가용영역으로 지정하면 된다.
    생성되는 가용영역에 대한 중요
    특정 가용영역에서만 생성이 가능한 인스턴스가 있는점을 감안해서 선택해야 한다.

크기 조정 정책 - 선택 사항

'대상 추적 크기 조정 정책' 선택 -> 지표유형: CPU -> 대상값: 50

인스턴스 축소 보호 - 선택 사항

선택 안함

알림 추가 - 선택 사항

인스턴스를 시작하거나 종료할 때마다 SNS 주제로 알림을 전송
다음 이벤트를 선택 가능 하다.
시작,종료,시작 실패,종료 실패

태그 추가 - 선택 사항

Auto Scaling 그룹의 검색, 필터링 및 추적에 도움이 됩니다.

검토

현재 까지 선택한것을 보여주며 문제가 없으면 최하단에 있는 'Auto Scaling 그룹 생성' 클릭을 하면 된다. 그러면 위에 '원하는 용량' 만큼 우선 자동으로 생성이 된다.



acc9729087444d9476cb68964595ff36_1694082835_4339.png


* 참고할것

  - [AWS] 쉬운 EC2 생성을 위한 시작템플릿 작성하기  

  - [AWS] EC2 쉬운 AMI 이미지 생성 > AWS.클라우드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44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원격의 서버에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는데 1대씩 들어가서 관리하는 방법도 있겠고 오토스케일링에 의해서 EC2가 자동으로 생성된것도 있고 할때 전체 서버에 명령을 내리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AWS SSM(Systems Manager) IP로 접속하는 방식이 아닌 EC2 인스턴스ID를 이용해서 접속을 하는 방식입니다. 접속하게 되면 유저는 ssm-user로 표시되며 sudo -i 명령으로 root 유저로 전환이 가능 합니다. 사용하기 위해선 …
  • profile_image 아마존 리눅스2가 나온지 오래되서의 문제보다 새로운 패키지를 만들면서 AWS의 정책이 변경 된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인지 아마존리눅스2에선 기본적으로 설치 되어 있는경우는 경로에 문제가 없는데 새로운것으로 설치하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설치프로그램 위치 문제가 있는 경우 PATH 추가 aws CLI와 SSM 매니저를 설치할 경우 경로가 변경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에는 aws --version 으로 잘 설치 되었는지 확인 하였는데 현재는 …
  • profile_image aws sdk를 설치하는 방법에는 php에서는 파이선의 pip나 노드의 npm 같은 패키지 관리자인 컴포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여기선 간단하게 압축파일을 받아서 푸는 방식으로 설치를 안내 합니다. 이유는 컴포저에 대한 설명 필요 없이 압축만 풀어 오토로드 파일 인쿠르드 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 입니다. AWS PHP SDK 설치하기 깃허브사이트에서 릴리즈를 클릭하면 현재 배포중인 최신 버전의 주소로 가게 되는데 글 작성하는 시점에서 아래 …
  • profile_image 액세스키 생성에 대한 부분만 언급이 되어 있어 어디서 만들어야 되는지 찾을 수 있는 부분이라 간단하게 적습니다. aws_secret_access_key 만드는 방법 IAM > 사용자 > 사용자 이름선택 > "보안자격증명" 탭의 액세스 키 "액세스 키 만들기"를 통해서 만들면 최종적으로 2개의 키가 생성 됩니다. 1개는 액세스키(aws_access_key_id) 다른 1개는 비밀키(aws_secret_access_key) 여기서 …
  • profile_image 현재 SDK 프로그램이나 콘솔에 있는 /root/.aws/credentials 파일의 내용을 통해서 액세스키는 아는데 어떤 사용자 인지 모를 경우 찾는 방법 입니다.## 액세스키를 이용해 AWS 유저 찾기aws_access_key_id 키는 아는데 유저를 모를 경우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어떤 유저 인지 확인이 가능 하다약간의 귀찮음이 있기는 하지만 보통 사용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약간의 인내력으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IAM > 사용자…
  • profile_image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스는 한가지가 아닙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SDK도 다릅니다.아래는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로드밸런스의 PHP SDK 사용에 대한 간단한 예 입니다.  require 'vendor/autoload.php';  use Aws\ElasticLoadBalancingV2\ElasticLoadBalancingV2Client;  $client = new ElasticLoadBalancingV2Client(…
  • profile_image 아마존 머신 이미지(AMI) 생성은 가장 쉬운 방법은 현재 EC2 돌아가고 있는것에서 생성 하는것입니다.모든 셋팅을 다 해 놓은 다음 이미지를 생성하면 다음 부터는 셋팅된 상태의 OS 환경을 볼 수 있습니다.중간에 잘못 될것을 감안하여 몇가지 버전을 만들어 두는 것도 좋겠습니다.그리고 이것은 오토스케일링 생성할때 자동으로 EC2를 추가 할때 필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AMI 생성하면 스토리지가 소모되는데 비용은 용량만큼 청구가 됩니다. 청구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