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네임서버(route53) 상태검사구성 헬스체크(healthchecks) > AWS.클라우드
AWS.클라우드

AWS 네임서버(route53) 상태검사구성 헬스체크(healthchecks)

조회 525회 댓글 0건

AWS에서의 네임서버는 상품명이 Route53 입니다. 53은 네임서버의 기본포트 입니다. 유용한 기능중에서 헬스체크란 것이 있습니다. 많은 양의 서버를 가지고 있다면 ELB 같은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런데 ELB는 하위에 최소 2대가 있어야 하고. ELB 비용도 지불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서버장애가 잘 나지 않고 트래픽이 많지 않은 경우 동시 2대 운영하면서 1대 장애가 발생하면 1대를 제외하여 서비스를 지속하고 싶은경우 사용하면 유용할듯 합니다. 또는 여러국가에 서비스 하는데 특정 국가에선 서버가 1대만 필요한경우 장애가 나면 인접한 다른 나라의 서버로 지정하는 기능도 괜찮을듯 합니다.


79ef1967d3e0aa380bfa2e12f49a2a64_1667698694_6039.png
 
* 추가 요금의 경우
최하단에 선택한 옵션이 있을 경우 표시 되기 때문에 잘 보시고 하시면 됩니다.
- 지연시간
- 문자열체크
- 짧은시간 체크(10초)
- https 프로토콜 사용

* 추가 요금이 없는 경우
- 이미지만 체크(웹서버만 체크 한다는것)
- AWS에 있는 서버

* 추가요금에서 중요한 기능은 문자열체크
내부에 디비서버등 여러가지 서버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유용할것으로 보입니다.
> 저같은 경우는 이 부분을 다른 서버에서 체크하여 문자로 알려주는 기능을 사용합니다. 단, 이렇게 되면 장애에 대한 대처는 자동으로 안되긴 합니다

* IP주소는 나가는 공인IP를 넣어야 되기 때문에 아래 명령으로 쉽게 
[root@pabburi ~]# curl ifconfig.me

* 저처럼 웹서버만 체크하는 경우는 간단하게 이미지매직으로 만들면 됩니다.
convert xc:#FF0000[1x1] xc:#00FF00[1x1] xc:#0000FF[1x1] +append aws_pabburi.co.kr.png

서버 대수가 좀 된다면 추가비용지불해야 되고 그러 한다면 이것도 쌓이면 비용좀 될듯 합니다. 한달이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때 까지 비용을 지불해야 되니 말이죠~

79ef1967d3e0aa380bfa2e12f49a2a64_1667699157_2775.png
상태검사 결과 입니다. - 저 같은 경우는 좀 더 빠르게 반응하게 하기위해서 기본 3회인것을 2회만 문제가 있어도 장애처리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럼 체크하는데만 1분 소요 되네요.
위 보시면 알겠지만 전체 모두 OK 되어야 합니다. 반대로 전부 실패해야 반영됩니다. 이 부분은 체크 하는 나라를 최대 3개 까지 줄일 수 있었던가 그런데요. 방화벽 같은것으로 막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가능하면 많은 나라에서 체크 되도록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79ef1967d3e0aa380bfa2e12f49a2a64_1667700677_6417.png
 
* 만약 웹서버 이외에 디비커넥션등 서비스에 치명적인 것 까지 같이 체크해야 한다면 아래를 참고하세요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구글플러스로 공유
전체 50건 1 페이지
  • profile_image 무료로 사용하는 RDB DBMS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MySQL를 사용하는 오로라 mysql 설정 방법에 대해 정리 한것입니다.오로라 RDS-MySQL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라우드 환경에 맞게 AWS에서 변경한 상품이다. 오로라가 아닌 MySQL 상품도 선택을 할 수 있는데 비용을 확인하고 나면 그럴 생각이 없어질 것이다. 그리고 AWS에 맞게 변경된 제품이기 때문에 더 좋다고 볼 수 있다.   ▷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식 선택 표준생성 ▷ …
  • profile_image 쓰기 전용 인스턴스를 상위 등급으로 변경하여 성능을 높이고자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라이더 인스턴스 높은 성능의 인스턴스로 변경하기 먼저 알고 넘어가야 할것은 라이더 인스턴스 변경하면 변경하는 동안 라이더가 없기에 AWS RDS에서는 리더 인스턴스 하나를 라이더로 변경한 후 작업이 진행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두 같은 성능의 인스턴스면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만약 다르면 성능이 높은 인스턴스를 '장애조치 우선순위' 값…
  • profile_image 제목은 이렇게 달아 달었지만 먼저 AWS 오로라에서는 MySQL DBMS 구조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마스터 슬레이브 구조가 아닙니다.생성한 다음 아래 명령을 내려 보면 다른 방법을 사용함을 알 수 있습니다.   mysql> show master status \G  Empty set (0.00 sec)  mysql> show slave status \G   Empty set, 1 warning (0.00 sec)  mysql> …
  • profile_image AWS Elasticache는 Amazon Web Services(AWS)에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인메모리 데이터 스토어 및 캐시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레디스와 Memcached를 지원하며, 이를 통해 고성능, 스케일링 가능한 및 비용 효율적인 인메모리 캐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Redis는 RDB가 아닙니다.RDB에서 IO를 줄이거나 슬로우쿼리가 약간 있거나 많은 게시물이 있을때 키 밸류의 인메모리 디비를 사용하면 잇점이 있기 때문에…
  • profile_image 오로라 클러스터 사용시 인스턴스를 추가, 삭제 하는 PHP SDK 예제 입니다.비교적 간단한 형태 이며 AWS 키는 본인의 환경에 맞게 변경 하면 됩니다.use Aws\Rds\RdsClient;class PabburiAws {  function profile() {    $aAwsConfig     = [      'region'      => AWS_REGION,      'version'     =>'latest',      'c…
  • profile_image 현재 AWS의 오토스케일링 현황을 볼 수 있는 SDK 입니다.필요에 따라서 문제가 있을것으로 추정 되면 종료 시켜서 자동으로 새로 생성 되게 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용량 - 이것은 한번에 생성 시킬 인스턴스를 말합니다. 보통 1을 지정하기도 하는데 이보다는 부하가 있기 때문에 생성 시키는 것으로 최소 2이상을 주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아래 클래스는 오토스케일링 PHP SDK 현황 확인을 하는 것이며 아래쪽에 있는것은 종료 시키는 것입니다.  c…
  • profile_image 원격의 서버에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는데 1대씩 들어가서 관리하는 방법도 있겠고 오토스케일링에 의해서 EC2가 자동으로 생성된것도 있고 할때 전체 서버에 명령을 내리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AWS SSM(Systems Manager) IP로 접속하는 방식이 아닌 EC2 인스턴스ID를 이용해서 접속을 하는 방식입니다. 접속하게 되면 유저는 ssm-user로 표시되며 sudo -i 명령으로 root 유저로 전환이 가능 합니다. 사용하기 위해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