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네임서버 해외서비스 - Route53 GSLB 구성도
아래는 해외에 직접 서버를 둘때 같은 도메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2차도메인으로 지역을 구분하는 방식이 아닌 동일한 도메인을 영국에서 사용하면 영국서버로 들어가고 브라질에서 사이트 접속하면 브라질 서버로 접속하게 하는 방식에 대한 간략한 구성도 입니다.
[AWS CDN 클라우드프론트와 객체스토리지 현지화 구성도]
필요한 경우 첨부된 파일은 draw.io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열면 됩니다. 객체 스토리지에 지역별로 다르게 접근 하려면 람다엣지 프로그램을 해줘야 합니다. 블록스토리지 비용보다 객체스토리지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이방식을 사용하며 속도는 지연되거나 않으며 프로그램상에서 이미지 하나하나 일일이 라우팅 하는 방식에 대한 속도에 대한 문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첨부파일
- AWS-해외서버구축-라우터53-GSLB.drawio (3.5K) 5회 다운로드 | DATE : 2022-01-29 16:55:18
- AWS-해외서비스-빠른속도로-서비스하기위한-현지화-서버구성-다중-객체스토리지.drawio (4.7K) 5회 다운로드 | DATE : 2022-01-29 16:55:18